출력문 

 python에선 숫자나 문자열 등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코드를 다음과같이 간단하게 작성 가능하다

print('Hello World!')	# 실행결과 : Hello World!

 

 또한 여러개의 값을 이어서 출력할 경우 다음과 같이 작성 가능하다

print('Hello', 'World!')  # 실행결과 : Hello World!

이처럼 이어서 출력할 값들을 ,(콤마)로 구분할 경우 값 사이를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출력된다.

 

 

자료형

  • 숫자형
    • int : 정수 자료형
    • float : 실수 자료형
    • complex : 복소수 자료형
  • 논리형 : True / False

 

기본 자료구조

  • 시퀀스(Sequence) : 문자열, 리스트, 튜플
  • 매핑 : 사전(dictionary)
  • 집합(set)

 

변수선언

  • 변수의 타입을 런타임에 동적으로 추론하는 방식이기에 선언 후 초기화가 불가능
  • 초기화되지 않았음을 표현하기 위해 None을 초기화 값으로 사용
# var		// 초기화 없이 선언할 수 없음
var = None
var = 3

 

연산

  • 기본적인 사칙연산 ( +, -, *, / )
    • 기존에 배운 언어와 달리 정수형끼리의 나누기 연산의 결과도 실수형태이다.
  • 몫/나머지 : a//b (몫) , a%b (나머지)
  • 제곱 : n**k
  • 문자열의 연산
    • 문자열+문자열 : 두 문자열을 이어붙인 문자열이 결과로 반환된다.
    • 문자열*정수형 : 문자열을 곱한 정수만큼 반복하여 이어붙인 문자열이 결과로 반환된다.
print(3 / 5)	# 실행결과 : 0.6
print(7 // 5) 	# 실행결과 : 1
print(7 % 5)	# 실행결과 : 2
print(2 ** 4)	# 실행결과 : 16
print('Hello' + 'World!')	# 실행결과 : HelloWorld!
print('Hello World!' * 3)	# 실행결과 : Hello World!Hello World!Hello World!

 

주석

  • ㄱ한줄 주석 : # 뒤의 모든 내용을 주석으로 처리한다.
  • 여러줄 주석 : """ ~ """ , ''' ~ ''' 3연속의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 사이의 내용을 주석으로 처리한다.
  • 윈도우 환경에서 대부분의 idle에서는 ctrl+/ 단축키로 주석처리가 가능하다
  • 파이썬 자체 idle의 경우 alt+3으로 주석 처리, alt+4로 주석 제거가 가능하다.
# 한줄 주석
print('Hello')
'''
여러줄
주석
'''
print('World!')


# 실행결과
Hello
World!

 

들여쓰기

  • python에서는 다른 언어에서 보통 중괄호로 나타내던 명령어의 종속성을 들여쓰기로 표현함
  • 보통 띄어쓰기 4번의 들여쓰기로 구분하는것을 추천함
for num in [1,2,3]
    print(num)		# 들여쓰기로 for문에 종속됨

'언어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#5 집합(Set)  (0) 2021.03.02
#4 딕셔너리(Dictionary)  (0) 2021.02.25
#3 튜플(Tuple)  (0) 2021.02.24
#2 리스트(List)  (0) 2021.02.24
0# Python 공부시작  (0) 2021.02.23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