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Wireless Network(무선 통신)

  • Wireless Link
    • 신호의 매질(medium)이 대기
    • 채널 내에서 신호들간의 충돌만이 이슈였던 유선연결과 달리 여러 문제가 발생
    • 충돌의 회피/감지가 어려움
      • 멀리서 보낸 시그널은 세기가 매우 약해지며 이더넷이 사용하는 CSMA/CD 방식으로는
       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고 신호를 보내 충돌이 더 쉽게 발생 

      • 자신이 보내는 신호의 세기가 다른 신호보다 훨씬 크기때문에 충돌의 감지도 어려움
  • IEEE 802.11 Wireless LAN (WI-FI)
    • 무선 연결 네트워크 기술 표준

    • 구조
      •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는 AP(Access Point) 존재 
      •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무선랜카드)를 가진 단말은 AP와 연결
      • AP와 AP는 스위치로 서로 연결되어있음
      • AP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무선링크상에 broadcast
      • 같은 AP에 연결된 호스트의 집합을 BSS(Basic Service Set)라 한다(하나의 AP와 다수의 유저로 구성)

    • MAC 프로토콜
      • CSMA/CA(Collision Avoid) 사용
      • 송식측은 Carrier Sense 로 채널의 상태를 확인, 표준에 정의된 DIFS 만큼 대기 후 프레임을 전송
      • 수신측은 프레임을 수신한 뒤 표준에 정의된 SIFS 만큼 대기 후 ACK를 전송
      • 이더넷과 달리 충돌을 100퍼센트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ACK를 통해 전달 여부를 확인해야함
      • 충돌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보내기 시작한 프레임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상관없이 끝까지 전송

    • RTS-CTS
      • 충돌 회피를 위한 컨트롤 프레임 교환방식
      • RTS(Ready To Send) : 송신측이 수신측에게 데이터를 보내려 함을 알리는 컨트롤 프레임
      • CTS(Clear To Send) : 수신측이 송식측에게 현재 데이터를 보내도 된다는 것을 알리는 컨트롤 프레임
      • AP는 CTS를 브로드캐스트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동안 다른 호스트들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함
      • 이후 송신측은 수신측에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 가능

    • IEEE 802.11 프레임 헤더
      출처: https://kr.mathworks.com/help/wlan/ug/802-11-mac-frame-generation.html
      • Frame Control
      • Duration
      • Address
        • 4 개의 6바이트(48비트) MAC 주소 필드를 가짐
        • Address 4 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(Ad-Hoc 네트워크에 사용)
        • Address 1 : 프레임을 전달받을 목적지 MAC 주소
        • Address 2 : 프레임을 전송하는 출발지 MAC 주소
        • Address 3 : AP가 연결된 라우터의 MAC 주소

        • 왜 AP가 연결된 라우터의 MAC 주소를 WIFI의 프레임이 가지고있어야하는가?
          => AP는 링크 계층의 장비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인 포워딩테이블 작성이 불가능

        •  AP는 MAC 주소를 가지는가?
          => AP의 무선 인터페이스쪽은 MAC 주소를 가지지만 유선 인터페이스는 스위치와 마찬가지로
               MAC 주소를 가지지 않음(보이지않음)

        • 가정용 공유기 등의 장비의 경우 링크레이어뿐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레이어까지 구현된 장비

 

 

2. Mobile Network(이동 통신)

  • TCP 연결의 유지 여부
    • WI-FI는 다른 AP로의 이동이 발생할 경우 IP주소가 변경, TCP 연결을 유지할 수 없음(이동통신 X)

    • 이동 통신은 네트워크의 범위가 굉장히 넓어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 내에서라면
      어디로 이동하더라도 연결이 끊기지 않음

  • 구조
    • 전국에 다수의 기지국(Base Station)이 설치되어있으며 사용자는 기지국과 무선연결을 수립하고
      기지국간의 계층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이뤄진다.

'CS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#11 네트워크 보안 2 - HTTPS  (0) 2021.12.07
#10 네트워크 보안 1 - 암호화  (0) 2021.12.06
#8 Link Layer(Data Link Layer + Physical Layer)  (0) 2021.11.25
#7 Network Layer  (0) 2021.11.18
#6 Transport Layer  (0) 2021.11.16

+ Recent posts